Insight_도메인 14

[조직행동론_4주차]조직내의 다양성

조직내의 다양성 -생물학적 특징 >인종과 민족 인종 사람들이 스스로와 서로를 구분할때 사용하는 생물학적 혈통으로 정의하며, 민족은 그에 다하여 인종과 종종 더불어 나타나곤 하는 문화적인 특징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 즉 인종과 민족은 표면적으로 차이가 드러나는 분야다. 성과, 평과와 승진에 있어서는 체계적 시스템을 구축해야 차별이 생기지 않는다. >장애 가장 편견이 있는 분야다. 과연 장애인이 많으면 조직 내의 성과가 낮아질까?에 대한 질문에는 그러할 수 있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다고 답할 수 있다. 한 회사는 직원 90%가 장애인으로 구성되어있는데, 괜찮은 성과를 내고있다. >숨겨진 장애 보이지 않는 장애로 수면장애 심리적 어려움 등을 상사에게 말하면 자신의 능력이 과소평가 될 것이라고 생각해 말하지 ..

Insight_도메인 2022.06.23

[조직행동론_3주차]조직행동론의 당면 과제와 기회2

조직행동론의 당면 과제와 기회 2. 노동인구의 인구통계적 특징 -긱경제가 아웃소싱의 확산으로 평생직장의 개념이 점점 희박해지면서 발전해오고 있다. 긱경제란 필요할 때마다 단기 계약직이나 프리랜서 등을 고용해 일을 맡기는 경제를 말한다. 노동인구는 경제, 기대수명, 출생률, 사회경제적 상황 그리고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화에 맞추어서 변화해왔다. 조직행동론은 그와 같은 적응 행동이 사람들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을 연구한다. 3. 노동인구의 다양성 - 개인의 개성을 살리면서 잘 협업해야한다. 다양성은 경영자와 직원에게 가능성과 문제를 동시에 제공한다. 4. 소셜 미디어 - 페이스북 프로필을 고용담당자는 훑어보아야 하는가? 에 대한 질문을 가지고 의논을 하였다. 영업능력을 소셜미디어로 판별하지도 ..

Insight_도메인 2022.06.22

[조직행동론_2주차] 조직행동론의 당면 과제

조직행동론의 당면 과제 삼성전자는 어느나라 회사인지에 대해서 대화를 했다. 주주 비율이 외국인이 가장 많은데 한국 회사가 맞은가.. 라는 부분에 대해서도 의논했다. 실시간 수업중 학우들의 의견중 경영자가 한국인이기 때문에, 대한민국에서 삼성이 시작 되었기 때문에, 본사가 한국에 있기 때문에 등의 삼성전자는 대한민국의 회사다 라는 주장이 있었고, 한국의 회사였지만, 글로벌회사로 성장해가면서 다국적 기업이 되었다고 주장하는 학우도 있었다. 내가 생각하기에는 그래도 삼성전자는 made in korea 한국 기업이다. 다양한 국가 출신의 사람들과 함께 일하는 것에 대해서도 배웠다. 중국은 출산 뒤 2주간 머리를 감지 않고 베트남은 가족이 아프면 출근을 하지 않는다는 각 나라별 고유의 문화들이 있다. 우리나라도 ..

Insight_도메인 2022.06.21

[조직행동론_1주차] 조직행동론이란?

조직행동이란?의 큰 틀 주제를 가지고 경영자의 고민과 연결하여 조직행동의 필요성을 먼저 학습했다. 경영자의 고민은 과 으로 나뉘는데, 더 신경쓰이고 중요한 부분은 사람이라는 분야다. 사람으로 부터 조직의 성과가 나오는 것이고 조직의 성과는 돈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사람을 관리하는 분야가 더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는 경영자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배우면서 효과적인 경영자와 성공적인 경영자의 차이점 그리고 조직행동론의 정의를 학습했다. 효과적인 경영자는 직원들과의 의사소통을 더 중요시하며, 영향력을 줄 수 있는 경영자다. 성공적인 경영자는 승진을 잘하는 경영자다. 조직행동론의 정의로는 조직내 개인의 행동을 관심 갖고 분석하는 학문이다. 개인의 특성/가치관/성격/감정이 행동에 ..

Insight_도메인 2022.04.25